상하 유리플라스크로된 커피추출기구를 한국에서 흔히 사이폰이라 부르고 있다. 사이폰이란 Siphon 또는 Syphon으로 표기하며 "빨아 올리는 관"이라는 뜻이다. 커피를 추출하는 원리를 보면 사이폰이란 말은 어울리지 않다. 빨아 올리는게 아니라 증기압으로 밀어 올린다음 진공의 힘으로 밑으로 다시 빨아내기 때문이다.
이 추출기구를 사이폰이라 하는곳은 우리나라와 일본뿐이다. 일본의 고노 힌이 사용한 상표명이다.
올바른 명칭은 증기압과 진공을 이용하는 방법이어서 진공커피포트(Vacuum Coffee Maker or Pot)라 한다. 이 기구를 누가 제일 먼저 발명하였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1827년 독일의 물리학자 뇌렌뵈르그 교수가 그린 그림에 나오고 있으며 일반적인 커피관련 서적에는 영국의 Napier가 1840년경에 제일 먼저 만들었다고 나오는 데 그는 단순히 수평식 진공커피기구를 만든것에 불과하다.
유리로 만들기 시작한것은 1930년대경 부터이다.
진공커피포트의 구조는 손잡이가 있는 지지대와 둥그런 상하 유리플라스크로 만들어져 있다. 상하 플라스크를 잇는 도관으로 뜨거운 물이 올라가고 위에서 커피와 만나 추출된 커피액이 관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오게된다.
모카포트는 뜨거운 물이 커피층을 한번 통과하는게 진공커피포트와 다르다. 도관의 윗 부분에는 커피의 찌꺼기를 거르는 여과지나 여과천이 부착되어있다.
가열기구는 알콜램프를 사용하는경우가 많다.
Cona(영국), Kono(일본), Hario(일본), Pirex(미국), Bodum(덴마크)
진공식 커피포트는 위 플라스크에서 필연적으로 커피와 물과의 뒤섞임이 생길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부분적인 과다 추출로 떫고 텁텁한 맛이 되고 만다. 이를 피하기 위해 섞는 시간을 짧게하면 맛이 너무 연해지기만 하며 부분적 과다추출은 그대로 남아있다.
또한 물의 온다가 높기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커피를 추출할때 나는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본래 향을 살릴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상온도는 90~95도 사이)
진공식 커피포트와 핸드드립으로 동일한 커피를 동일한 양으로 추출한 것을 비교하면 핸드드립한 쪽이 신맛과 단맛 모두 나타나며 더욱 풍부한 맛과 향을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공식 커피포트는 시각적인 연출효과가 뛰어나지만 맛을 생각하면 이점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