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마지막으로 [b]

[고구마, 자연이 만든 GMO | ㅍㅍㅅㅅ]새 창으로 열기
연구팀이 고구마에서 발견한 외래 유전자는 근두암종균이라고 불리는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 세균은 식물에 감염되어 근두암 같은 종양을 만드는데 역시 유전자의 일부를 식물 세포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렇게 전달된 유전자가 생식 세포에 들어가면 세대를 거치면서 유전자가 전달됩니다.
연구팀은 분석한 고구마 유전자의 기원을 확실히 검증하고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291개의 샘플에서 검사를 진행했을 뿐 아니라 고구마의 근연종에서도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고구마가 인간에 의해 작물화되기 전 이 유전자가 고구마에 유입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외래 유전자가 인간이 고구마를 작물화할 때 유리한 특성, 즉 쉽게 재배 가능하고 먹기 좋은 고구마가 생기는 형질을 제공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T-DNA라고 불리는 이식 DNA는 방향성 없이 무작위적으로 삽입 가능하지만 그중에서 후손을 많이 남기고 번성하는 것은 분명 생존에 유리한 어떤 특징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작물화에 유리한 특징이 되었을 것입니다.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모바일 사이트, GMO는 자연에 없는 인간만의 신기술?]새 창으로 열기

인간의 유전자 기술(GMO 기술)은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차용한 자연의 기술 그대로이고, 최근에 개발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마저 세균에서 발견해 새롭게 배운 기술이다. 오히려 자연에 없는 방식은 접목이나 돌연변이 육종 같은 기존의 육종방식이다. 레트로 바이러스는 다른 숙주세포에 들어가 자신의 유전자를 숙주세포의 유전자 속에 집어넣어 그 유전자의 일부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바이러스에 의한 유전자의 이동은 세균뿐 아니라 대부분의 생명에서 일어난다.
자연에 무수히 많은 생명에서 수많은 외래 유전자가 발견되니 자연의 GMO는 도대체 얼마만큼 많이 이루어지는 것인지 알기 힘들다. 한 연구에 따르면, 바다 속에 있는 바이러스들이 자신의 유전자를 새로운 숙주로 전이시키는 횟수가 1초에 1000조 회에 달한다고 추정한다. 인간이 모르는 GM 생물이 바다에서만 매초 1000조 회 만들어지는 것이다.
인간 유전체를 다른 유기물들과 비교해 보면 우리 유전자의 37%는 박테리아에서 왔고, 28%는 진핵생물에서, 16%는 동물에서, 그리고 13%는 척추동물에서 왔다. 겨우 6%만 우리가 진화해 영장류로 분화할 때 새로 나타난 것이라고 한다.

레트로 바이러스는 유전자를 복제할 때 자신의 유전자를 숙주의 유전자 사이에 슬쩍 끼워 넣는다. 그 세포가 숙주의 생식세포인 경우에는 자식의 유전자에도 바이러스 유전자가 고스란히 들어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인간의 유전자에 남겨진 부위를 HERV(Human endogenous retrovirus)라고 부르는데, 우리 유전자의 약 8%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유전자가 바이러스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당뇨병 치료의 필수 호르몬 인슐린의 속살_GMO 사람인슐린에 대해]새 창으로 열기
여기서, <GMO 인슐린>이란 표현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본다. 유전자합성 사람인슐린을 영어를 섞어 쓰면 GMO인슐린이 맞다. 좀 더 풀어 이르면 유전자변형생물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가 만들어 낸 인슐린이다. 그런데, 유전자변형생물체(GMO)가 만들어낸 인슐린은 사람인슐린과 구조가 같고 효과도 똑같이 발휘하고 있고 해롭지도 않다. 그래서 전문의들 중에는 식품 등에 붙는 GMO란 글자를 인슐린의 경우에 붙이는 게 실제적으로 합당하냐는 의견이 있다. 사람 인슐린과 모양과 효력이 다를 바 없는데 굳이 GMO의 일부 부정적 의미 부분을 붙일 필요가 있냐는 것이다. 그렇다, GMO인슐린이란 용어의 앞부분인‘GMO’는 GMO의 긍정적 내용만을 흠씬 담고 있다.

새 글 쓰기(클릭) - 링크는 [http://nyxity.com/wiki/wiki.pl 바벨의 도서관] 형식입니다.

DontPanic
과학분류
트랙백 주고받기

마지막 편집일: 2019-6-7 12:25 pm (변경사항 [d])
955 hits | 변경내역 보기 [h] | 이 페이지를 수정 [e]